Simple payment service

2022. 4. 30. 20:07Fintech

핀테크 분야를 공부하면서 간편결제기술이 핀테크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고 인기가 많은 기술이라고 생각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주관적인 글이므로 추가적으로 부족한 부분은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


○ about simple payment service

간단한 방식으로 결제를 지원하는 시스템. 핀테크(첨단기술을 접목한 금융 서비스 전반)의 일종이다. 일부 언론에서는 '스마트페이' 'XX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영미권에서는 정확히 1:1로 대응되진 않지만 대략 e-wallet, digital wallet, mobile wallet, mobile payment 등의 단어가 많이 사용된다.

 

처음 간편결제서비스는 기존 인터넷금융서비스에서 사용한 공인인증서, active x같은 번거로운 절차 방식을 대체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서 인기도가 높아졌다. 간편결제를 도입하면서 등장한 가장 큰 변화는 앞서 언급한 복잡한 인증절차를 제거한 편리성과 모바일을 사용해 카드, 은행 계좌 등의 결제 정보를 모바일에 저장해두고 지갑을 따로 들고 다닐 필요없이 결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reason to noticed

 

- 온라인 상거래 비중 증가

 

reference check : 통계청

 

모든 분야를 불문하고 소비트렌드가 점점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2020년에는 온라인 총 거래액이 160조를 넘어섰고 그 중에 모바일을 사용한 거래액이 105조에 육박한다. 따라서 간편결제서비스시장에서 모바일결제서비스 시장이 거의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시장은 기존의 금융권 뿐만 아니라 비금융권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추세이므로 더욱 활용도 높을 전망이다.

 

- 편리한 절차

 

기존에 사용한 인터넷 금융서비스에서는 Active x, 공인인증서가 의무화되어 여러인증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방법 사용하였다. 그런데 2020년 공인인증서 폐지가 법안으로 통과되고 간편결제서비스가 대중화 되면서 성장에 추진력을 얻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결제의 편리함을 더욱 보완하기 위해 NFC기능, 지문인식과 홍체인식 같은 생체인식 등이 적용된 기술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는 중이다.

 

- 스마트폰의 보급율

reference check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135732

 

현재 대한민국의 휴대폰 보급률은 100% 이고 그 중 스마트폰 보급율은 95% 정도이다. 당연히 높은 보급률 때문에 모바일 시장의 규모가 클 수 밖에 없고 앞서 언급한 온라인 상거래 비중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과 연관될 수 밖에 없다.

 

 

 

○ kinds of simple payment service

 

-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술이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칩이 NFC 결제 단말기에 무선으로 신용카드의 정보를 전달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인데 삼성페이, 구글페이, 애플페이가 이를 체택하고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이기 때문에 통신거리가 짧아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며 암호화 기술을 적용으로 기존 근거리 통신방식 중에 보안성이 높다.

 

- MST -> 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의 약자로 기존 카드결제에서 마그네틱 부분에서 카드정보가 저장되있고 마그네틱을 단말기에 긁으면 자기장이 발생하여 결제되는 원리를 활용한 방식이다. 삼성페이에서 실행하였으며 스마트폰에서 마그네틱 자기장을 발생하여 결제하는 시스템이다.

 

- QR코드결제 -> 말그대로 QR코드를 활용한 간편 결제 서비스이다.  MPM(Merchant Presented Mode, 가맹점 제시) 방식이라고도 부르는데 매장에서 제공하는 QR코드를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찍은 후 결제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 BC카드, 신한카드 등의 간편 결제 앱에서 QR코드 MPM 방식을 지원한다.

 

○ types of related to mobile easy payment enterprise

현재 간편결제시장은 삼성,카카오,네이버 등 ICT기업이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외 많은 기업들도 자신들만의 플랫폼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국내시장은 빅4[삼성페이·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가 강세인 것 같다.

 

 

- 삼성페이

reference check : http://www.samsung.com

국내 최초로 간편결제시스템의 신드롬을 일으켰고 아직까지 그 누구도 삼성페이의 시스템을 따라올 자가 없다고 생각한다. 삼성전자가 2015년 3분기에 출시한 서비스며 NFC & MST 방식을 채택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간편결제를 할 수 있으며 갤럭시 s6모델 부터 따로 설치가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삼성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 단순히 결제만 가능한것이 아닌 교통카드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은행 입출금 서비스도 지원을 한다. 처음 삼성페이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갤럭시 시리즈에서만 지원을 하였는데 2017년부터 모든 다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도 지원이 가능하다.

 

- 네이버페이

reference check : https://pay.naver.com/about]

 

네이버가 2015년 2분기에 출시한 간편결제 서비스이다. 다른 플랫폼과 마찬가지로 개인정보를 미리 등록후 간편결제가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네이버페이의 장점으로는 13만개 이상의 가맹점을 보유하여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줄 수 있다. 전시된 상품들 중에 네이버페이가 결제가능한 곳에 Npay라는 아이콘이 뜨며 구매시 적립률도 함께 표시가 된다. 네이버페이는 온라인에 비중을 두고 있지만 체크카드로도 발급받을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오프라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페이코

reference check : http://www.payco.com

 

NHN이 2015년 3분기에 출시한 간편결제 서비스이다. 온라인 & 오프라인 결제에 사용이 가능하며 오프라인 결제시 NFC모드를 사용하여 결제를 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결제 시스템만 지원하지 않고 송금 서비스도 지원을 한다. 페이코는 티머니 서비스와도 연계가 되어있다. 페이코는 오프라인의 가맹점을 확보하기 위해 삼성페이와 제휴를 맺어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페이코 삼성페이 결제를 하게 되면 결제금액의 1%를 페이코 포인트로 적립을 해준다. 페이코의 가장 큰 차별성은 NFC, 바코드, QR,  MST 등과 같은 오프라인 간편결제 서비스의 모든 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게 하였다.

 

- 카카오페이

reference check : http://www.kakaopay.com

 

카카오페이는 2014년 3분기에 카카오에서 출시한 서비스이다. 초기에는 QR코드, 바코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진행하였고 추후 실물 카드없이 앱으로만 결제할 수 있게 되었다. 카카오에서 출시했기 때문에 국내 이용율이 가장 높은플랫폼 카카오톡과 연계가 되는 강점이 있다.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연계플랫폼인 카카오 쇼핑하기, 주문하기, 선물하기, 스타일, 프렌즈 샵 등으로 간단하게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고 지인들에게 역시 송금도 가능하다.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에서 카카오페이 머니를 활용한 서비스를 시작해서 카카오페이에서 연결된 계좌에 자동을 돈이 충전되어 잔액이 있다면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결제를 하면 자동으로 휴대전화 번호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기능도 있다.

 

- 토스

reference check : https://toss.im/

 

빅 4정도의 규모는 아니지만 최근에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2015년 비바리퍼블리카에서 개발한 간편 송금 서비스 앱이다. 개인적으로 토스의 장점은 송금기능에 많은 노력을 한 것으로 느껴진다. 일단 송금이 간편하다는 점인데 보인의 계좌랑 연동을 한다음 지문터치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간편하게 송금을 할 수 가 있다. 또한 송금 진행시에 초반에는 횟수제한을 두어 일정 횟수의 송금을 넘어가면 수수료를 발생시켰는데 작년에 수수료 정책을 변경하여 횟수 제한 없이 무료로 송금 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상대방이 토스회원이 아니거나 송금할 계좌번호를 몰라도 연락처만 있다면 상대방에게 돈을 송금할 수 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keb하나은행과 함께 토스 환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 외화를 수령한 장소를 선택한 후 keb하나은행에서 비교적 적은 수수료와 간단한 절차로 바로 환전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업들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기업들만 소개해 보았다...

 

 

reference check : https://namu.wiki/w/%EA%B0%84%ED%8E%B8%20%EA%B2%B0%EC%A0%9C%20%EC%84%9C%EB%B9%84%EC%8A%A4

'Fin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acon  (0) 2022.04.29
Crowd Funding  (0) 2022.04.27
Techfin  (0) 2022.04.22
Fintech  (0) 202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