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tech

2022. 4. 22. 07:38Fintech

 

○ Fintech

핀테크(FinTech 또는 Financial Technology)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모바일, 빅 데이터, SNS 등의 첨단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모바일을 통한 결제, 송금, 자산관리, 크라우드펀딩 등 금융과 IT가 융합된 것이다. 새로운 IT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서비스 혁신이 대표적이며 최근 사례는 모바일뱅킹과 앱카드 등이 있다. 산업의 변화로는 혁신적 비금융기업이 보유 기술을 활용하여 지급결제와 같은 금융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현상이 있는데 애플페이, 알리페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국내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의 예로서는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페이코, 토스 등이 있다.

 

○ Kinds of fintech

▷ 간편결제, 송금 서비스

기존에 사용한 인터넷 금융서비스에 불편함을 주었던 Active x, 공인인증서 사용을하여 번거롭게 여러인증을 거쳐야 하는 방법을 최소화하여 불편함 해소하였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생체인증방식이나 NFC 같은 것들이 있다.

생체인증방식은 잘 아시다 싶이 사용자의 지문, 얼굴 등과 같은 생체를 이용하여 자신을 인증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더이상 비밀번호를 외우지 않아도 된다는 불편함이 사라졌다. 비밀번호보다는 유출되거나 해킹되기가 어렵고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 되었고 사용성의 편리함으로 인해 결제과정속도도 향상이 되었다. NFC는 10cm이내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인데 삼성페이를 사용할때 이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의 대표기업은 토스, 카카오페이,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이 있다.

 

▷ p2p 금융

image reference : 연합뉴스

Peer to Peer finance의 줄인말로서 대출자와 투자자를 직접연결하는 형태의 금융상품을 의미한다

기존의 금융시장환경에서는 은행이 투자자로부터 예금을 받아 상대적으로 낮은 이자를 주고 대출자에게 돈을 빌려주며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받으며 그러한 중개의 역할과 상환위험에 대한 리스크를 떠안으며 마진을 챙겨 수익을 발생시키는 구조였다. 하지만 P2P 금융시장에서는 대출자와 투자자사이에 은행대신 P2P플랫폼 업체가 연결하여 둘 간의 거래를 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수료를 받는다. 대출자는 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을 받을 수 있고 투자자는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자율을 얻을 수 있다. 즉 새롭게 개인과 개인이 돈을 빌리고 빌려줄 수 있는 플랫폼상의 일종의 거래나 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 크라우드펀딩

image reference : https://pakwired.com/crowdfunding-sites/

말그대로 crowd[대중] + founding[투자]의 합성어로 다수의 개인들이 돈을 투자하여 자금을 모으는 투자방식이다.

기존의 펀드와 다르게 조건이 상대적으로 덜 까다롭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소규모기업, 개인 등에게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보다 다양한 상품에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높아진다. 서로 이해관계가 맞는 투자자들은 은행, 증권사 대신 클라우드펀딩 온라인플랫폼에 방문을 하여 투자받는자는 이 플랫폼에 모으고자하는 목표금액, 기간을 등록시킨다. 만약 목표금액이 안되거나 기간이 지난다면 후원금은 투자자들에게 환불되고 계획이 무효가 된다.

크라우드펀딩은 수익을 원하는 경우, 그러지 않는 경우의 목적에 따라 크게 후원형, 기부형, 투자형, 대출형으로 구분한다.

수익을 원하는 경우에는 대출형, 증권형이 있고 그 반대는 기부형, 대출형이 있다.

수익/비수익 사례 보상
대출형 P2P대출, 소액대출 보상o
증권형 비상장주식, 채권투자 보상o
기부형 재난 보상x
후원형 예술, 교육 보상o[상품, 티켓]

 

▷ 로보어드바이저

말그대로 Robot + Advisor의 합성어로 고도화된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통해 인공지능이 기존의 어드바이저 대신 고객의 성향에 맞춰 주식, 펀드, 채권 등의 상품에 자산을 배분해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존 어드바이저인 사람이나 기관이 제공하는 어드바이저에 비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Effects on Fintech 

1. 귀찮게 은행창구에서 금융업무를 보는 대신 스마트 폰 뱅킹을 활성화하여 비용의 절감효과가 있다.

2. 개인별 맞춤업무 제공한다.

3. 은행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4. 다양한 거래 플랫폼을 제공한다.

5. 이용이 간편하고 수수료가 저렴한 지급 결제 서비스 제공한다 -> 지급결제시장의 진입장벽 완화효과

 

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도 수많은 효과와 장점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이정도만 정리하겠다.

 

cf)

○ 규제샌드박스

-> 혁신성이 인정되는 서비스에 대해 일정 기간동안 기존규제를 면제, 유예하여 기업들을 지원해주는 제도

 

reference check :  https://ko.wikipedia.org/wiki/%ED%95%80%ED%85%8C%ED%81%AC

'Fin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mple payment service  (0) 2022.04.30
Beacon  (0) 2022.04.29
Crowd Funding  (0) 2022.04.27
Techfin  (0) 202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