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3)
-
6043
문제 설명 실수 2개(f1, f2)를 입력받아 f1 을 f2 로 나눈 값을 출력해보자. 이 때 소숫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무조건 소숫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입력 2개의 실수(f1, f2)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f1을 f2로 나눈 결과를 소숫점 이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숫점 세 번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0 3.0 출력 예시 3.333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09 -
6042
문제 설명 실수 1개를 입력받아 소숫점 이하 두 번째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해보자. 예시 a=float(input()) print( format(a, ".2f") ) 참고 format(수, ".2f") 를 사용하면 원하는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 된 실수 값을 만들어 준다. 여기서 만들어진 값은 소수점 아래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수 변환이나 실수를 사용하는 계산은 정확하게 변환되거나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두 근사값으로 계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수가 컴퓨터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디지털방식으로 2진 정수화되어 저장되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아주 작은 부분이 저장되지 않고 사라지는 잘림(truncation) 오차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2022.03.09 -
6041
문제 설명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해보자. 예시 ... print(a%b)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1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09 -
6040
문제 설명 정수 2개(a, b)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해보자. 예시 ... print(a//b) 입력 2개의 정수(a, b)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10 3 출력 예시 3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09 -
overhead
payload 부분에서 나와있어서 찾아보았습니다 overhead 의미 어떤 처리를 하기 위해 들어가는 간접적인 처리 시간 · 메모리 등을 의미 패킷의 헤더부분에 위치함 ex) 예를 들어 A라는 처리를 단순하게 실행한다면 10초 걸리는데, 안전성을 고려하고 부가적인 B라는 처리를 추가한 결과 처리시간이 15초 걸렸다면, 오버헤드는 5초됨. 또한 이 처리 B를 개선해 B'라는 처리를 한 결과, 처리시간이 12초가 되었다면, 이 경우 오버헤드가 3초 단축함 [출처 : wekipedia] -> 오버헤드가 낮을수록 성능 up 목적 정보 전송의 신뢰성 확보, 시스템 안정적 운용 성격 페이로드에 추가되는 성격의 운용, 유지보수를 위한 신호 담겨진 정보 각 전송 구간별 페이로드의 종류, 형태, 출발지, 도착지 주소, ..
2022.03.08 -
payload
payload - 전송되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 - 위 그림처럼 데이터에는 metadata, header, properties가 같이 전달됨 -> payload는 header, matadata등 싹다 제외시키고 데이터 그 자체만 전송[body부분] 이해하기 쉬운예시 -> 유조선 트럭이 20톤의 기름을 운반한다면 트럭의 총 무게는 차체, 운전자 등의 무게 때문에 그것보다 더 될 것이다. 이 모든 무게를 운송하는데 비용이 들지만, 고객은 오직 기름의 무게만을 지급(pay)하게 된다[출처 : 위키피디아]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message protocols 중에 protocol overhead와 원하는 데이터를 구별할 때 사용 ex) 웹 서비스 응답(web service response)이 아래의 JSON에서..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