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yload
2022. 3. 8. 02:58ㆍNetwork
payload
- 전송되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
- 위 그림처럼 데이터에는 metadata, header, properties가 같이 전달됨 -> payload는 header, matadata등 싹다 제외시키고 데이터 그 자체만 전송[body부분]
이해하기 쉬운예시
-> 유조선 트럭이 20톤의 기름을 운반한다면 트럭의 총 무게는 차체, 운전자 등의 무게 때문에 그것보다 더 될 것이다. 이 모든 무게를 운송하는데 비용이 들지만, 고객은 오직 기름의 무게만을 지급(pay)하게 된다[출처 : 위키피디아]
프로그래밍에서 주로 message protocols 중에 protocol overhead와 원하는 데이터를 구별할 때 사용
ex) 웹 서비스 응답(web service response)이 아래의 JSON에서 data -> payload, 나머지 -> protocol overhead
보안쪽에서
멀웨어의 일부분(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모든 s/w의 총칭)
ex) data훼손, 스팸매일, 개인정보를 알아내기 위한 매일 등...
더 자세한 링크주소 (추가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wiki.hash.kr/index.php/%ED%8E%98%EC%9D%B4%EB%A1%9C%EB%93%9C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 header (0) | 2022.04.04 |
---|---|
Proxy (0) | 2022.03.27 |
Portforwarding (0) | 2022.03.26 |
NAT (0) | 2022.03.26 |
overhead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