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2. 00:35ㆍPrograming Language/Linux
이번에는 고정ip주소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공부하는 내용을 정리하는 글이라 이미 아시는 분은 스킵해주시면 감사드리고 잘 모르시는 분은 참고하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우분투의 초기 세팅시 DHCP가 true로 되어있기 때문에 유동ip주소가 기본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원할한 서버 운영을 하기 위해 고정 ip주소로 변경해야 합니다.
cf) DHCP -> 동적호스트 설정 통신규약으로 TCP/IP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
적재적소로 ip를 필요할때 마다 할당하고 회수하는 형식인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VMware Workstation에서는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ip변경시 수정이 필요함.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자신의 Vmware Player에 붙여넣어줍니다.[자신의 workstation의 버전과 일치안하면 오류]
![](https://blog.kakaocdn.net/dn/to6gU/btrRPBNJPep/lD2mSkVadE6Klz2dC42uQK/img.png)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 vmnetcfg를 실행시켜줍니다. 그러면 VMnet1과 VMnet8부분이 보이는데 NAT주소 변경을 위해 VMnet8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변경시켜줍니다. 그 다음 NAT Settings을 선택하여 Gateway ip 값도 변경시켜줍니다.
ifconfig를 명령하기 위해 apt install net-tools –y을 통해 net-tools패키지설치합니다.[이미 설치가 되있으면 필요없음]
![](https://blog.kakaocdn.net/dn/bKcBp4/btrRMEyba2o/zBqmFOswPmjlkdJ3xJSWOk/img.png)
ls –al/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보면 installer –config.yaml이라는 파일이 존재합니다.
이 파일 안에 현재 사용하는 네트워크 파일의 정보가 들어있으니 수정시켜주어야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z4L4/btrRKKlCgdW/rjc2LW3vtmJP6uVlrJr6B0/img.png)
nano를 이용하여 installer-config.yaml파일을 편집시켰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k2ow/btrRJQGebzO/g2bHei9AEOaFKzNe7jAqY0/img.png)
앞서 언급한 것 처럼기본설정에서는 dhcp4의 상태가 true로 되어있습니다. ip를 주소를 dhcp서버로부터 받아오는데 이 때문에 유동 ip가 되어 재부팅 할때마다 ip주소가 변경됩니다 . 따라서 dhcp를 no로 변경한 다음 자신의 고정 ip, gateway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uWvn7/btrROI7ilZl/9c2Q7bk9hu6Ed9iTdmEHb0/img.png)
완료가 되면 netplan apply를 명령해야만 installer-config.yaml파일에서 변경한 내용이 적용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tG2Q/btrRNBt8hT5/LslAVf7SwKA0TeTUPPHVTk/img.png)
마지막으로 ip주소와 gateway 주소가 잘 변경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ipaddr와 ip route를 명령하여 확인만 해주면 끝입니다.
cf)
# DHCP Settings 정보
Starting IP address : DHCP 서버가 임대해줄 IP의 시작번호지정
Ending IP address : DHCP 서버가 임대해줄 IP의 끝번호지정
Subnet mask : C class Subnet 값인 255.255.255.0 으로 지정
=====================================================
# Host-Only NW
1. 외부와 단절된 게스트 내부 네트워크를 구축하며내부의 통신끼리만 허용됨
2. 외부로 연결되는 방법 x -> 인터넷 x
3. VMnet1 adapter가 이 경우임 <-> NAT이 포함된것은 VMnet8 adapter의 경우임
# Bridge NW
1. 호스트NW와 게스트NW를 공평하게 하나로 연결
-> 호스트와 동일한 ip 대역을 할당 받아 사용이 가능하고 서로 동등하기 때문에 구분이 없음
'Programing Languag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tall&setting firewall (0) | 2023.01.01 |
---|---|
modify repository file (0) | 2022.12.24 |
install korean language (0) | 2022.11.18 |
related to root commands (0) | 2022.05.26 |
about yum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