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3)
-
6053
문제 설명 정수값이 입력될 때, 그 불 값을 반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a = bool(int(input())) print(not a) 참고 a = bool(int(input())) 와 같은 형태로 겹쳐 작성하면,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위와 같은 명령문의 경우 input( ), int( ), bool( ) 순서로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처리/평가된다. 어떤 불 값이나 변수에 not True, not False, not a 와 같은 계산이 가능하다. 참 또는 거짓의 논리값을 역(반대)으로 바꾸기 위해서 not 예약어(reserved word, keywor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연산을 NOT 연산(boolean NOT)이라고도 부르고, 프라임 '(문자 오른..
2022.03.20 -
6052
문제 설명 정수가 입력되었을 때, True/False 로 평가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시 n = int(input()) print(bool(n)) 참고 bool( ) 을 이용하면 입력된 식이나 값을 평가해 불 형의 값(True 또는 False)을 출력해준다. 식이나 값을 계산해서 결과값이 만들어지는 것을 평가(evaluate)라고 한다. python 언어에서 정수값 0은 False(거짓)로 평가되고, 그 외의 값들은 모두 True(참)로 평가된다. ** 불 대수(boolean algebra)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참)/False(거짓)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값이 0이면 False, 0이 아니면 True 를 ..
2022.03.20 -
6037
문제 설명 반복 횟수와 문장을 입력받아 여러 번 출력해보자. 예시 n = input() s = input() print(int(n)*s) 참고 문자열 * 정수 또는 정수 * 문자열은 그 문자열을 여러 번 반복한 문자열을 만들어 준다. 입력 반복 횟수와 문장이 줄을 바꿔 입력된다. 출력 입력된 횟수만큼 입력된 문장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3 I love CS 출력 예시 I love CSI love CSI love CS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20 -
6022
문제 설명 6자리의 연월일(YYMMDD)을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해보자. 참고 s = input() print(s[0:2]) 를 실행하면 0번째 문자부터 1번째 문자까지 잘라 출력한다. s[a:b] 라고 하면, s라는 단어에서 a번째 문자부터 b-1번째 문자까지 잘라낸 부분을 의미한다. 다른 자르기 방법도 있다. 입력 6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연월일(YYMMDD)이 입력된다. 출력 년도(YY) 월(MM) 일(DD)을 공백으로 구분해 한 줄로 출력한다. 입력 예시 200304 출력 예시 20 03 04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20 -
6021
문제 설명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단어 1개가 입력된다. 입력받은 단어의 각 문자를 한 줄에 한 문자씩 분리해 출력한다. 예시 s = input() print(s[0]) print(s[1]) ... 출력 각 문자를 한 줄에 한 문자씩 줄을 바꿔 출력한다. 입력 예시 Hello 출력 예시 H e l l o 모범 답안 내풀이
2022.03.20 -
SQL ZOO[MySQL]Using Null Quiz 2022.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