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3)
-
Subnet mask
공부한것을 기록한 것이므로 이미 아시는 분들은 스킵하시거나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 background of subnet mask IPv4는 IP클래스 단위로 IP를 나누어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다. 이 경우 65,536개의 ip수를 할당 가능했다. 하지만 할당된 ip수에서 10,000개만 사용한다면 나며지 55,536개는 사용하지 않고 점유만 하고 굉장히 비효율적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ubnet mask가 등장하였고 이를 통해 ip 할당 범위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눌수가 있음. 즉 subnet mask는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 할수있게 되므로 네트워크를 방지할 수 있다. ○ what is subnet mask 네트워크 ID 와 호스트..
2022.04.20 -
Ip address class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록하는 것이라서 아시는 분들은 패스하거나 참고만 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p address ip주소는 32bit[4byte] 길이로 구성되어있다. .을 기준으로 1byte단위로 4개로 구성된다. ex)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실제 ip주소는 2진수로 표기되어 위처럼 8bit단위 4개로 조합되지만 사람이 이해하지 어렵기 때문에 10진수로 변환하여 표기한다. 각 8개씩 묶인 8bit를 1옥텟이라고 부르는데 각 옥텟별 8bit가 전부 0이거나 1인 경우수를 계산하여 10진수로 표현하면 각 옥텟별로 0~255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ip의 개수는 256개가 된다. 그리고 전체 ip의 수는 2^32 인 4,294,967,296라는 값이 나온다. ip..
2022.04.20 -
Network table
OSI 7계층, 포트번호, TCP/IP 4 계층 등 잘 정리된 표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link -> https://drive.google.com/file/d/1KebluNNjU0zNi0o3veMp7eMyS91kAJyN/view
2022.04.19 -
Firewall[inbound & outbound]
○ Firewall 네트워크 단계의 인터넷 보안 시스템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 외부로부터 침입을 막는 벽으로 표현한 것임. 방화벽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절단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응용프로그램을 고칠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흘러다니는 모든 패킷을 검사함으로 해킹과 같은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또한 관리자가 규칙을 정하기만 하면 그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온라인 상황에서는 내, 외부의 접속 상황을 감시할 수 있어 병목현상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 inbound 내부를 향하는 것 데이터가 서버 내부로 들어오는 것 서버 또는 네트워크 내부로 인입 클라이언트 -> 서버 클라이언트가 업로드 할 때 cf) 여기에서 '것..
2022.04.19 -
Ethernet header
○Ethernet header 위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Ethernet header 부분이다. -Destination Address[6byte] : Frame을 수실할 MAC 주소정보가 담겨있음 -Source Address[6byte] : Frame을 송신한 호스트의 MAC 주소정보가 담겨있음 -Ethernet Type[2byte] : 상위계층 프로토콜 정보를 담고있음 나머지 Preamble[7byte] : 이더넷 프레임의 첫 번째 필드로서 0과1을 반복하는 7bytes를 포함하고 수신 시스템에게 프레임이 도착하는 것을 알려주며, 입력 타이밍에 수진 시스템이 동기화 할수 있도록 만듬. SFD : 정상적인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10101011)하는 프레임 동기로 마지막 두비트는 11이며 수신자..
2022.04.18 -
ARP header
○what is ARP 주소결정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라고 불리며 같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즉 ip주소만 입력하더라도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올 수 있으며 같은 네트워크대역에서 가져온 MAC주소로 통신을 하게한다. 윈도우 cmd창에서 arp -a라고 입력하면 ip주소[인터넷주소]와 MAC주소[물리적주소]의 대응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ARP header -Hardware type[2byte] : 네트워크 유형을 의미함. 16진수 1개가 4bit이므로 일반적인 이더넷환경에서 16진수의 이더넷프로토콜[0x0001]으로 세팅됨 -Protocol type[2byte] : 프로토콜..
2022.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