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8. 17:55ㆍPrograming Language/Linux
○host : 도메인명으로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
#host[옵션]도메인
옵션
-a->도메인의 정보를 타입값(A, MX, NS) 위주로 자세히 출력
-t->질의 타입을 지정함. A, MX, NS 를 지정하고 기본값은 A 임
-v->도메인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출력함
○netstat: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나타내주는 명령어
#netstat[옵션]
옵션
-a->all, 모든소켓정보를 나타냄
-r->라우팅정보를 나타냄
-n->호스트명대신에 ip주소로 나타냄
-i->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나타냄
-p->프로세스id와 프로세스이름을 표시함
-s->프로토콜별 네트워크 통계정보출력함
-t->TCP프로토콜정보 출력함
-u->UDP프로토콜정보를 출력함
○nslookup : DNS서버에 질의해서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함
-> 도메인을 모르는데 IP주소를 알때 혹은 그 반대인 경우일때 유용함
#nslookup, #nslookup[domain], #nslookup[ip address], #nslookup[domain][ip address]
google이라는 도메인을 입력 -> 서버[가려진부분] 주소에 있는 구글 DNS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옴 -> google.com이라는 도메인 주소가 172.217.175.46이라는 IP주소에 매핑됨
○dig : DNS로 부터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명령어[nslookup에 비해 사용이 간결, 출력이 상세함]
-> 보통 도메인 네임에 대한 DNS 질의응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경우에 많이 쓰임
#dig[server][name][type]
server->확인하고싶은 도메인, IP주소
name -> 조회할 레코드이름
type -> a:도메인IP정보, any:지정된도메인의모든정보, mx:지정한도메인의메일서버정보, ns:네임서버정보
<-QUESTION SECTION:자신의 질의한 내용을 나타냄
<-ANSWER SECTION:서버가 응답한 내용을 나타냄
○ping : 상대 호스트와 연결 가능한지 확인하는 명령어
ping 명령어는 TCP/IP 프로토콜 중 ICMP을 통해 동작함
-> ICMP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IP 주소를 갖을경우]를 대상으로 ping을 수행할 수 없음
#ping[옵션][IP address, domain]
옵션
-c (count) : ping을 보낼 횟수
-i (interval) : ping을 보낼 간격
-s (size) : ping의 크기(최대 65507)
-f (fast) : 최대 속도
○traceroute : 목적지까지 네트워크연결이 어떤 경로로 도달하는지 추적하는 명령어
->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시 어디서 안되었는지 확인가능함
#traceroute[ip address, domain]
○ssh :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명령어
#ssh[옵션][계정]@[서버주소명령어]
○ifconfig : 서버에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
#ifconfig
옵션
-a :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볼 수 있음
up : 지정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down : 지정한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netmask addr : 넷마스크 설정
address :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설정
○ip : ip 주소 정보 조회나 ip 설정을 하는 명령어[ifconfig랑 유사함]
ip[옵션][대상][명령]
ex)
#ip addr show -> 현재 시스템 ip 정보출력
#ip route show -> 라우팅정보출력
'Programing Languag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reis & $PATH & background (0) | 2022.04.11 |
---|---|
Linux commands related to process (0) | 2022.04.09 |
Linux commands related to document (0) | 2022.04.08 |
Linux commands related to search (0) | 2022.04.08 |
File system of linux commands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