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4. 16:25ㆍNetwork
Ipv6 header -> 총 40바이트
- version(4bits)
Ip의 버전을 나타냄. Ipv6인 경우 6으로 나옴
- Traffic(8bits)
Ipv4의 Type of Service필드와 유사함 -> 음성, 영상, text등 IP패킷마다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사항을 구분함
- Flow label(20bits)
실시간 데이터(음성, 영상)에서 필요한 전달 등 우선 순위 전달에 사용됨
기본 라우터처리의 경우 Flow label필드는 0으로 설정이 되고 음성, 화상들의 실시간 데이터의 트래픽은 0이 아닌 값으로 설정이 됨
- Payload length(16bits)
IPv6의 전체 페이로드 길이를 나타냄
16비트를 사용하므로 최대 65,535바이트의 IPv6 페이로드를 표시할 수 있음
페이로드 길이가 65,535바이트보다 큰 경우 페이로드 길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점보 페이로드 옵션이 확장 헤더에서 사용
- Next header
기본헤더 다음에 위치하는 확장헤더의 종류를 표시함[Ipv4header의 protocal과 비슷함]
- Hop limit(8bits)
Ipv4 header에서 TTL과 비슷한 역할
IP 패킷이 전송되는 거리를 홉 단위로 제한할 때 사용하는 필드이고 라우터를 경유할때마다 패킷이 1씩 감소하여 0 이 되면은 drop시킴 -> 라우팅 루프를 방지함
- Source Address(128bits)
출발지 Ipv6의 address
- Destionation Address(128bits)
목적지 Ipv6의 address
cf)
Ipv6의 향상기능
- 32비트인 Ipv4에 비해 Ipv6는128비트 이므로 늘어난 주소공간으로 기존 Ipv4의 공간 부족을 해결함
- 체크섬 필드를 제거 -> 체크섬필드 재계산하는 오버헤드 줄임
- Flow label 필드를 통해 Qos제공-> Qos[Quality of Service] 트래픽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필수 동작에 맞게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도록 트래픽을 조작함. 즉 Qo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래픽을 구별한 후에 트래픽에 서로 다른 동작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줌- 자동 주소 설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p header (0) | 2022.04.06 |
---|---|
TCP header (0) | 2022.04.05 |
IPv4 header (0) | 2022.04.04 |
Proxy (0) | 2022.03.27 |
Portforwarding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