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20. 01:11ㆍSite/FTZ
Trainer8[player]
- 새로운파일생성
- 컴파일 실행 방법
챕터8은 새로운파일을 만들고 컴파일하고 실행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파일의 종류이다
일반텍스트파일[글자로만이루어진파일(README.TXT)] <- cat명령을 사용하여 내용을 출력함
프로그램소스파일[컴퓨터언어로이루어져있음] <- compile을 통해서 실행이 가능하도록한다음 사용한다
위의 cat > 파일이름.txt를 해석해보면
cat 명령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모든글자를 파일이름.txt로 보낸다 라는 의미이다
hello를 입력한 test.txt텍스트파일을 생성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zlnyO/btrtH1LjDGy/q2koVbe6mwISNcaBv6l6q1/img.png)
내용을 확인해 보니 world라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다음은 프로그램소스파일을 만드는 방법이다
cat >program.c라고 입력한다음
int main(){int a=10,b=20; printf(“10+20=%d”,a+b);}를 입력한 프로그램소스를 작성한다
이렇게 만든 프로그램파일은 컴파일을 통해 소스파일을 실행가능한 프로그램파일로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컴파일을 시켜줘야된다
컴파일 하는 방법은 gcc –o program.exe[프로그램이름] program.c[소스파일이름]순으로 작성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fuzNY/btrtJDXa3S1/GLhyzIrh3Kpvz4AoQ17SP1/img.png)
Trainer9[programming]
- 리눅스의 권한
이번 챕터는 리눅스의 권한에 대하여 소개한다
리눅스에는 4가지 종류의 사용자가 있다
유저: 자기자신
그룹: 모든 유저는 하나이상의 그룹에 속함[보통은 자신의 유저네임과 같은그룹에 속한다]
아더: 유저, 그룹을 제외한 모든 다른 사람들을 의미한다
루트: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사용자로서 모든파일을 제어할 수 있다
자신이 어떤 유져, 그룹에 속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id를 입력한다
![](https://blog.kakaocdn.net/dn/uL7NK/btrtJDCRK3i/VHsweTrhFZu87nUWLMoR61/img.png)
- uid[= User ID](2009=trainer9)
- gid[= Group ID](2009=trainer9) -> 특별한 지정이 없다면 uid와 항상 같음
- groups : 자신이 어떤 그룹에 속해있는지 알려줌 -> 특별한 지정이 없다면 uid와 같은 그룹에 속함
다음은 파일의 권한정보분석이다
-rwx[유져의권한]rwx[그룹의권한]rwx[아더의권한]을 의미하고 r[읽기권한],w[쓰기권한],x[실행권한]을 의미한다
잠깐 정리해본다
읽기권한이 없다면 -> cat 명령으로 파일을볼 때 Permission Denied
쓰기권한이 없다면 -> cat >> 명령으로 내용편집 못함
실행권한 -> 리눅스에서는 확장자[exe, bat, com등]만 보고 실행파일인지 가늠할수없기 때문에 실행권한인 ‘x’라는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보고 판단한다
trainer9[유져], trainer10[그룹]을 의미하고 나머지는 아더이다
다음시간에는 Trainer의 마지막 Trainer10을 다루어 보겠다...
'Site > FTZ'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Z level1 (0) | 2022.02.21 |
---|---|
FTZ Trainer10 (0) | 2022.02.20 |
FTZ Trainer7 (0) | 2022.02.19 |
FTZ Trainer5 + FTZ Trainer6 (0) | 2022.02.19 |
FTZ trainer3 + FTZ trainer4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