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18. 14:55ㆍNetwork
○Ethernet header
위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Ethernet header 부분이다.
-Destination Address[6byte] : Frame을 수실할 MAC 주소정보가 담겨있음
-Source Address[6byte] : Frame을 송신한 호스트의 MAC 주소정보가 담겨있음
-Ethernet Type[2byte] : 상위계층 프로토콜 정보를 담고있음
나머지
Preamble[7byte] : 이더넷 프레임의 첫 번째 필드로서 0과1을 반복하는 7bytes를 포함하고 수신 시스템에게 프레임이 도착하는 것을 알려주며, 입력 타이밍에 수진 시스템이 동기화 할수 있도록 만듬.
SFD : 정상적인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10101011)하는 프레임 동기로 마지막 두비트는 11이며 수신자에게 다름 필드가 목적지 주소임을 알려줌.
DATA[46byte-1500byte]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로부터 캡슐화된 데이터가 들어 있음. 즉 상위 프로토콜의 데이터패킷을 담는곳임. 최소 46~1500 bytes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위계층의 패킷의 길이가 최소길이[46 byte]보다 작을때는 끝에 padding(0)으로 채워짐.
FCS[4byte] : Frame Check Squence로 전송시 에러를 체크함.
wireshark로 확인해보았다.
Ethernet패킷을 확인해보니 총 14byte크기로 16진수로 값이 설정된 것 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한번 자세히 보겠다.
- 이더넷 목적지 MAC주소
목적지 MAC주소는 불분명하므로 Broadcast로 설정되어있고 이더넷에서는 Broadcast인 경우 이진수 1로 꽉채우고 16진수로 변환된 값이 출력됨.
cf) Broadcasting->UDP를 기반으로 호스트가 포함된 전체 네트워크 대상으로 패킷을 보내는 1:N 통신방식
Broadcasting 주소->ff:ff:ff:ff:ff:ff[MAC주소로설정한경우]
-출발지 MAC주소
- ethernet타입
총 4byte이고 현재는 상위프로토콜 ARP프로토콜[0x0806]로 Encapsulation 되어있음.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table (0) | 2022.04.19 |
---|---|
Firewall[inbound & outbound] (0) | 2022.04.19 |
ARP header (0) | 2022.04.16 |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0) | 2022.04.14 |
ICMP Header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