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20. 19:19ㆍCloud/aws
# S3
객체스토리지 & 서버리스고 용량을 미리 브로비저닝 할 필요가 없다.
많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와 긴밀하게 통합이 가능하다.
# EFS
오직 리눅스 인스턴스용의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이다.
모든 EC2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접근이 가능하고 가용 영역 전반에 걸쳐서 공유가 된다.
# Glacier
객체 아카이브를 위한 곳이다.
객체를 오랫동안 저장하고 싶고 회수할 일은 매우 드물 때 이용되는 스토리지이다.
# FSx for windows
windows 서버를 위한 네트워크 파일시스템이다.
#Fsx for Lustre
리눅스 + 클러스터의 합성어로 고성능 컴퓨닝이 가능한 리눅스 파일 시스템이다.
HPC가 실행되고 IOPS가 높으며 용량도 크다.
백엔드에서 S3와 통합된다.
# EBS volumes
네트워크 스토리지로서 한번에 EC2 하나의 EC2인스턴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생성된 특정 가용 영역 내부에 바인딩된다.
가용 영역을 변경하고 싶다면 해당 스냅샵을 생성하여 해당 스냅샵을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불륨을 만들어야 된다.
# Instance Storage
EC2인스턴스의 물리적인 스토리지이다.
하드웨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EBS보다 높은 IOPS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인스턴스가 중지되면은 해당 스토리지가 영구적으로 손실되는 위험이 있다.
# Storage Gateway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파일을 전송한다.
주요 Gateway에는 File Gateway, Volume Gateway, Tape Gateway, Storage Gateway가 있다.
# Snowball / Snowmobile
대용량의 데이터를 S3의 클라우드로 물리적으로 옮기는 스토리지이다.
# Database
각각의 스토리지의 특징은 추후에 구체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c summary (0) | 2022.06.28 |
---|---|
Kinesis ordering & SQS ordering (0) | 2022.06.24 |
RDS database port (0) | 2022.06.14 |
Types of Load Balancers (0) | 2022.06.12 |
aws create budgets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