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ier architecture[subnet]
2023. 2. 18. 20:24ㆍCloud/aws
전까지 VPC와 인터넷게이트웨이까지 생성하였습니다
지금까지의 대략적인 구성도를 그려보았습니다
그 다음 서브넷을 만들어주겠습니다
이미 아시다 싶이 기존에 저희가 쓰고있는 VPC[10.0.0.0/16]의 네트워크 범위를 잘게 쪼개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1개의 공용서브넷과 3개의 사설서브넷을 구분하여 2개의 가용영역에다가 각각 생성하겠습니다
cf) aws에서의 서브넷은 5개의 일부예약된 주소가 있으므로 서브넷을 생성할 때 주의해야됨
ex) 10.0.0.0/24 CIDR -> 10.0.0.0[네트워크주소], 10.0.0.1[라우터용], 10.0.0.2[DNS매핑용], 10.0.0.3[나중에필요할수있는부분], 10.0.0.255[브로드케스트]
서브넷에 들어와서 서브넷 생성 선택
자신이 만든 VPC을 선택
서브넷 설정에서 자신의 서브넷이름과 가용영역을 선택
2개의 퍼블릭서브넷이 생성됨
그 다음으로 프라이빗서브넷을 생성하겠습니다
생성방법은 퍼블릭 서브넷이랑 동일하니까 생략하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구성한 서브넷이 모두 생성되었습니다
현재까지의 진행상황을 보면 대략 이렇습니다
다음에는 퍼블릭서브넷에 NAT을 생성해보겠습니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B(ALB) 로그 활성화 & S3에 로그 저장하기 (0) | 2023.07.13 |
---|---|
cloudformation (0) | 2023.05.27 |
3-tier architecture[internetgateway] (0) | 2023.02.18 |
3-tier architecture[vpc] (0) | 2023.02.13 |
intro aws 3 - tier architecture (0) | 2022.10.02 |